대만영화 부흥의 시작
2007년에 개봉한 음악 로맨스 영화인 '말할 수 없는 비밀'은 우리나라에서 특히 큰 인기를 끌었던 대만영화입니다. 연출과 각본, 음악감독에 주연까지 모두 맡아 활약한 대만의 배우 주걸륜의 진가를 보여준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음악 장르에 로맨스와 함께 미스터리, 드라마적인 요소를 넣어 재미있게 잘 풀어낸 영화입니다. 이 영화의 배경은 예술고등학교입니다. 예술고등학교로 전학을 온 주인공 상륜은 피아노에 재능이 있는 천재 피아니스트입니다. 우연히 학교 음악실에서 샤오위라는 소녀를 만나 즐거운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영화의 스포일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하게는 이야기하지는 않겠지만, 사실 샤오위는 비밀을 간직한 소녀였습니다. 시간을 넘나들 수 있는 능력이 있는 'Secret'의 악보를 통해서 우연히 상륜을 만나게 되었던 것입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다소 유치하게 느껴질 수 있는 설정으로 느껴질 수 있겠지만, 이 당시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은 대만영화의 부흥을 이끈 작품이라고 일컬어졌습니다. 심지어는 영화의 OST인 'Secret'의 인기와 더불어 피아노라는 악기 자체에 대한 관심도 매우 뜨거워졌습니다. 아마 이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모두가 기억할만한 대표적인 씬이 그 역할을 했습니다. 바로 피아노 배틀 씬입니다.
음악실에서 벌어지는 피아노 배틀
예술고등학교에서는 정말 이런 일들이 벌어지는지는 모르겠지만, 영화 중간에 학교 음악실에서 벌어지는 '피아노 배틀'장면은 이 영화의 백미입니다. 처음에는 경쟁으로 시작하며 주고 받지만, 점차 연주가 빨라지고, 합쳐지면서 한 곡이 됩니다. 그리고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는 클래식이나 재즈, 뉴에이지 장르가 아닌 화려하고 새로운 느낌의 피아노 연주가 펼쳐집니다. 여기에 재미있는 비하인드 스토리가 하나 있습니다. 피아노 배틀의 MC이자, 극 중 '아이스크림 선배'라고 불리는 쉐가오 선배는 사실 주걸륜과 친한 안무가라고 합니다. 또한 주걸륜과 피아노 배틀을 하게 되는 위하오는 주걸륜이 키운 대만의 그룹 멤버라고 합니다.
피아노가 이렇게 매력있는 악기였어?
영화는 피아노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시켜 나가면서, 피아노라는 악기의 매력을 관객들에게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왼손은 아래 음역, 오른손은 높은 음역을 연주하는 연주법만을 고집하지 않고 양손을 교차시키며 연주를 하거나, 두 사람이 한 피아노를 함께 연주하는 연탄곡도 많이 등장합니다. 연탄곡을 치려면 두 사람이 나란히 앉아 한 피아노로 연주를 해야 합니다. 또한 음악을 같이 만들어나가야 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서로의 호흡과 속도에 맞추어 연주를 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로맨스를 표현해 내기 가장 좋은 소재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도 이 영화의 개봉 후에 전국 실용음악학원과 피아노학원의 수강생 수가 크게 늘었다고 합니다. 또한, 이 영화의 OST를 연주하기 위해 많은 학생들이 연주에 몰두했다고 합니다.
영화보다 더 좋은 OST
피아노 음악영화인만큼 OST도 매우 유명하며, 아직도 많이 연주됩니다. 우선, 피아노 배틀에서 연주되었던 쇼팽의 '흑건'은 원래도 유명했지만, 영화 개봉 후에 '백건'버전으로 편곡된 버전도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쇼팽의 연습곡(Etude) 작품인데, 오른손의 모든 음표가 한 음을 제외하고는 모두 검은건반만을 연주하는 곡입니다. 사실 쇼팽의 에뛰드 중에서는 어느정도 수월하게 칠 수 있는 곡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으로 연주되는 곡은 마찬가지로 쇼팽의 왈츠를 편곡한 곡입니다. 원곡은 훨씬 느리지만, 편곡된 버전은 더 빠르고 주요 멜로디 외에는 원곡과 많이 다릅니다. 세 번째 곡은 두금삼이라는 곡인데, 피아노 배틀의 상대인 위하오가 양손으로 친 곡을, 주걸륜은 한 손으로 연주하는 매우 뛰어난 스킬을 보여줍니다. 이외에도 피아노 배틀 외에도 이 영화의 가장 중요한 곡인 'Secret'은 느린 버전과 빠른 버전의 두 가지가 있는데, 상대적으로는 쉬운 난이도를 가지고 있지만 양손을 교차하며 연주를 하거나 빠르게 휘몰아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은 연주곡입니다. 피아노 악보를 볼 수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쳐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영화의 감성을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